
나는 요즘 출근할 때 버스정류 장이나 지하철로 가지 않고 서울 시 공유자전거 ‘따릉이’ 대여소로 간다. 벽산아파트 앞 ‘홍은교 대여 소’에서 ‘따릉이’를 타고 홍제천길 을 따라 사천교를 거쳐 홍대입구 역 근처 사무실까지 25~30분이면 족하다. 서대문구 홍은1동, 홍제3동 주 민들의 숙원사업이던 유진상가 아래 홍제천 산책로가 반세기만 에 연결됐다. 주민 공모를 통해 선 정된 이름 ‘열린 홍제천길’은 "숨 통이 뚫린 것처럼 시원하다"고 말 하는 주민들의 마음을 잘 대변해 주고 있다. 며칠 전 한 어르신이 " 야~!" 감탄하며 걷는 걸 봤다. 그 어르신은 진짜 반세기만에 다시 그 길을 걷는 것이다. 유진상가 아래 ‘열린 홍제천길’ 개통은 전직 서대문구의원인 나 의 공약이었다. 이 공약 이행을 위 해 10번도 넘게 어두운 유진상가 아래에 들어갔다. 비가 억수처럼 내릴 때도 과연 물에 잠기는지 어 쩐지 보기위해 비장한 마음으로 손전등을 켰었다. ‘열린 홍제천길’ 개통식 날 한 통
의 문자를 받았다. "몇 년 전 손수 건으로 코를 막고 걸었던 길이 뚫 렸네요. 정말 악취 나고 깜깜한 길 에 신기한 제안이었는데, 그날 저 에게 의원님은 참 기인이셨는데, 세월이 흘러 그 길이 정말 뚫렸네 요. 신기한 날입니다." 나는 ‘열린 홍제천길’을 상상하 면서 몇 개 부가적인 제안을 했는 데, 대부분 실현돼 매우 고마웠 다. 특히 유진상가 쪽 연결통로(계 단)설치는 안전문제와 냄새문제 를 해결하고 지역상권 활성화까 지 이뤄낼 수 있는 1석3조의 아이 디어였다. 또 산책로 반대쪽 기둥 과 벽면에 조명을 설치하면 관광 명소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제안했 었다. 아쉬움도 있다. 당초 유진상가 와 통해있는 환기구가 2개 있었기 때문에 그 자리에 2개의 연결통로 를 설치할 수 있었는데 1개만 설 치됐다. 아마 2개 환기구 사이 거 리가 가까워 그랬나본데, 이 연결 통로의 기능이 안전, 환기, 지역 상권활성화란 것을 생각하면 거 리가 짧은 게 큰 문제는 아닐 것이 다. 그리고 산책로와 물길 사이의 칸막이가 너무 높고 시야를 가리 는 게 아쉽다. 철봉 같은 소재로 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열린 홍제천길’이 주민들의 사 랑을 듬뿍 받는 안전한 길이 되기 를 바라며 3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홍제초교 쪽 입구부분이 약간 넓고 의자들이 놓여있는데, 이곳은 자칫 음주 장소나 노숙자 들의 장소가 될 우려가 있다. 초기
부터어르신 등의 음주나 화투놀 이 등에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 둘째, 악취의 원인인 하수구를 막아(집중호우 때 자동개방) 냄새 를 많이 줄였으나 환기문제는 더 욱 철저히 해결해야 한다. 별도 환 기시설 설치가 어렵다면 유진상 가로 올라가는 계단 출구를 현재 1개에서 1개 더 설치하는 것도 방 법이다. 그리고 하수구 막음 공사 가 제대로 됐는지 정밀 점검을 해 서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 하자보 수기간 안에 철저하게 보완토록 해야 한다. 하수구 옆을 지날 때 냄새가 새어나왔다. 셋째, 홍은1동과 홍제3동의 자 전거길 계획을 새로 짜야 한다. 홍은교 위쪽부터는 산책로가 좁 아 자전거와 보행자가 섞여 다니 기에는 사고의 위험이 있다. 우선 ‘열린 홍제천길’ 입구의 태영아파 트쪽 진출입로를 자전거 출입이 쉽도록 개선해야 하고, 벽산아파 트 앞 홍은교도 자전거가 내려오 기 쉽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그 진출입로들과 이어지는 자전거도 로를 확충해야 한다. 그래야 자전거 통행량이 분산된 다. 장기적으로 산책로를 약간 확 장해 포방교까지 정식 자전거도 로를 설치하는 것도 검토해볼 수 있다. 나는 요즘 ‘따릉이’를 타고 출퇴 근하며 또 다시 여러 가지 즐거운 상상을 한다. 세상을 바꾸는 일은 누군가의 상상으로 처음 시작되 고, 그 상상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현실이 된다. ‘열린 홍제천길’처럼.
상상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