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문화체육

故 이상욱화백 100주기 기념 전시회

‘에이도스(eidos)’를 찾아서 주제 한국추상화가 7인 전시회

학고재(學古齋)갤러리에서 1월7일부터 2월6일까지 실시해

한국 추상회화 역사와 작가의 미술사적 위상 재조명 기획전

                                                  

                                                         고  이상욱 화백

삼청동 소재 학고재 갤러리에서는 지난 1월7일부터 2월6일까지 故 이상욱화백 100주기를 기념하며 한국 추상회화의 역사를 되짚고 잊힌 작가의 미술사적 위상을 재조명하는 대형 기획전 <에이도스(eidos)를 찾아서>라는 주제로 한국 추상화가 7인전이 열리고 있다.

 

1956년 서대문구 충정로2가 에서 태어나 65년을 태어난 그 집에서 거주하고 있는 이홍기 화백은 아버님이신 故 이상욱화백의 100주기를 기념하면서 한국추상화의 정체성과 지평을 넓히기 위해 故 이상욱화백(1923~88)을 비롯 이봉상(1916~1970), 류경채(1920~1995), 강용운(1921~2006), 천병근(1928~1987), 하인두(1930~1989), 이남규(1931~1993) 등 한국 추상회화의 잊힌 작가를 다시 소환했다. 회화55점, 유리화 2점 등 총57점을 본관과 아트센터에 나눠 전시하고 있다.

 

 

이홍기 화백은 “아버님이신 故 이상욱화백 100주기를 기념하면서 이번 주제가되는 '에이도스(eidos)'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존재사물에 내재하는 '본질'을 가르키는 말로 사상의 본질을 좇는 추상회와의 속성을 에이도스라는 개념에 빗대어 추상미술의 작품양식 속에 우리만의 메시지가 있는지 알아보고 미술 다양성의 폭을 넓히기 위해 전시회를 열었다”고 전시회의 의미를 설명했다.

또한, “전시된 7인의 작품들은 동시대 미술의 거대한 물결을 공유하면서 서구 조형어법에 주체적으로 대응했던 한국미술의 유산으로 전통과 현재, 동양과 서양, 지역특수성과 보편성 등 이항대립의 인력과 척력을 헤쳐 나갔던 이 땅에서 펼쳐졌던 치열한 ‘자기화의 몸부림’이 21세기에 와서 단색화가 국제무대에서 시민권을 획득하는 기적을 낳았다고 평가받고 있다”며 추상이라는 구조에도 모국주의적 표현 내용과 시대 상황까지를 공시적 통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전시를 통해 조명되는 故 이상욱화백 등 7인은 1920년대 출생 작가를 중심으로 해방 제1세대 작가까지를 아우르며 현재 모두 고인이 된 이들은 전후 서구로부터 유입된 추상회화의 거센 파고 속에서 한국적 양식을 이룩해낸 작가들로 회자되고 있다”며 “단색화로 촉발된 한국미술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더 다양한 작가와 작품을 내놓아야 한다”며 한국 현대미술의 힘과 정신을 살피고 우리의 정체성을 공고히 다지는 일이 중요한 과제라고 주장했다.

전시된 작품들은 한국 추상회화의 다양한 양식의 작품으로 ‘서정적 액션의 분출’ (故 이상욱화백)을 비롯 ‘형태의 환원과 원시적 비전(故 이봉상), ’순도 높은 시적 정취(故 류경채), ‘서체적 충동의 추상 표현(故 강용운), 초현실주의적 신비주의(故 천병근), ’전통 미감과 불교적 세계관의 현대적 구현(故 하인두), 우주의 질서와 생명의 빛(故 이남규)의 각각의 주제를 담은 작품인 회화55점, 유리화 2점 등 총 57점을 학고재 갤러리 본관과 아트센터에 나눠 전시되고 있다.

특히, 이번 전시회는 한국미술의 지평에 한국과 서구의 추상회화는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한국 추상회화의 가족유사성은 있는가, 있다면 그 조형적 혈맥의 요체는 무엇인가, 한국 추상회화는 전통을 어떻게 양식의 자양분으로 삼았는가, 공양과 서양 미학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는 등의 의제를 던지고 있다.

한편, 탄생 100주년을 맞은 故 이상욱 화백은 북한에 고향을 둔 실향민으로 남한으로 내려와 서대문구 충정로에 자리잡은 이래 평생을 서대문구민으로, 그곳에서 태어난 아들 이홍기 화백도 그집에서 평생을 지내오며 아버지의 대를 이어 한국 화단에서 활동하고 있다.

서대문구의 소중한 문화자산이기도 한 故 이상욱화백은 1958년부터 조형파에 가담해 비교적 이른 나이에 전위적 의식의 개안을 보여 주었으며 신조형파는 화가뿐만 아니라 건축가, 디자이너들이 포함된 단체로 예술의 생활화, 종합화를 추구했다.

 

 

그의 작품은 커다란 원형 또는 사각 형태에 극히 요약된 띠나 점으로 구성된 추상으로 응결된 형태도 ‘환원’한 지적인 구성이고 또 하나는 일정하게 토막 난 굵은 붓 자국으로 구성한 추상으로 해체된 형태로 ‘확산’한 서정적 액션이 돋보인다.

또한, 1980년대에 들어서 일필휘지로 초서를 써내려가듯 서체적 충동을 분출하는 추상으로 운필의 속도와 리듬, 선명한 필선의 호흡, 맑고 투명한 수성의 감각, 여백의 여운 등의 표현은 서체적 충동과 오랜 문방(文房) 문화의 전통, 추사 김정희의 탈속의 서체에 매료라는 시각으로 보는 이상욱의 서체회화는 동도서기(東道西器)의 예술적 실천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특히, 월남후 충정로에서 41동안 이어진 故 이상욱화백의 작품세계와 함께 세딸인 이초경, 효경, 문경 자매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작품활동을 하는 등 대를 이어온 충정로의 작품세계는 서대문구의 자랑스럽고 소중한 문화자산으로 가꾸어져 가야 될 것이다.

문의 : 학고재 갤러리 종로구 삼청로 50 02-720-1524

서대문구 서대문구의회 서대문구소방서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회 전국지역신문협회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
홍정희 의원, 소아·청소년 당뇨병 환자 지원 근거 만들어
서대문구의회 홍정희 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은 소아·청소년 당뇨병 환자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 지원하고자 새롭게 조례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홍 의원이 발의한 「서대문구 소아·청소년 당뇨병 환자 지원에 관한 조례」는 제307회 서대문구의회 제1차 정례회를 통해 심사, 최종 의결됐다. 이번 조례는 당뇨병으로 인해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소아·청소년 당뇨병 환자 지원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환자와 가족의 복리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이 목적이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으로는 ▲목적·정의·구청장의 책무 ▲지원계획의 수립·시행 및 실태조사 ▲지원사업 및 사무의 위탁 ▲협력체계 구축 및 통계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 이 조례안에서는 서대문구에 거주하는 18세 미만의 당뇨병 환자 및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의 학생인 경우도 지원 대상에 포함하며, 구청장은 소아·청소년 당뇨병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계획을 수립·시행해야 한다. 지원계획에는 ▲정책 목표 및 추진 방향 ▲지원에 관한 사항 ▲예방 및 조기 발견에 관한 사항 ▲올바른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홍보 등이 포함된다. 조례를 발의한 서대문구의회 홍정희 의원은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