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기에 가정에서의 사교 예방을 위해서는 위험요소를 사전에 철저히 제거하고 필요한 안전수칙을 숙지하여 만약에 일어날 사고에 대비하여야 합니다.
예를들면 장마철 습기가 많을 때, 더위로 인해 많은 양의 전기사용으로 인해 과부하가 걸려 누전이나 전기에 관련한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누전이나 전기사고가 날 경우에는 가장 먼저 전기차단기를 내려야 하는데 의외로 전기차단기가 어디에 있는지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아 모든 가족이 전기차단기가 어디에 있는지 정도는 알아두어야 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수도배관이나 도시가스 밸브 차단기의 위치도 평소에 잘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여름철은 난방계절이 아니기 때문에 보일러를 그냥 방치해 두기 쉽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계절적 특성상 여름철은 보일러가 부식되거나 고장나기 쉬운 계절로 특히 장마철 동안 집중 호우등으로 보일러에 습기가 차기 때문에 여름철이지만 가끔 보일러를 틀어 주어야 한다.
그럼으로 인해 보일러의 부식이나 고장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안의 습기도 말려주어 집안이 눅눅해 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과한 습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로 인한 사고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라는 속담이 있다. 사소한 부주위로 인해 큰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은 바로 안전조치를 위한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므로 다시한번 가정의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안전장치의 위치와 사용법을 숙지하는 지혜를 통해 가정의 안전을 지키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