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칼럼

식중독 (Food poisoning)

식중독은 식품이나 물 섭취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으로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의하고 있다. 
장염은 보통 소장 대장에 염증이 있는 상태를 말하며 성인의 경우 대부분 음식섭취와 연관이 있어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 
식중독은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과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가장 흔한 식중독은 세균성 식중독이며 최근 위생관념이 비교적 좋아져서 상대적으로 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식중독은 미생물 또는 독소를 섭취 후 보통 2시간에서 2일정도의 잠복기를 거쳐서 설사, 복통, 구토 등을 유발하며 열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고 3-4일후 자연회복 되지만 환자의 상태나 원인에 따라 치사율이 높은 경우도 있다. 임상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식중독을  중심으로 임상증상과 치료, 예방 등에 관해 알아보겠다.

1. 포도상구균
( Staphylococcus)식중독
포도상구균 식중독은 황색 포도상구균에 의해 생산된 장독소(exotoxin)에 의해 발생하며 조리자에 의해 감염된 음식물을 실온에서 장시간 보관하며 발생하기 쉽고  섭씨100도에서 30분 가열해도 파괴 되지 않아 익혀 먹었다고 안심할 수 없으며 섭취 후 1-2시간내에 수액성 설사와 복통 등을 동반하며 하루 이틀 만에 회복되는 경향이 있다. 잔치나 야유회 등에서 음식 섭취 후에 많이 발생한다.

2. 살모넬라
 (Salmonella)식중독
주로 닭과 같은 가금류 등이 흔한 오염원이며 계란껍질 등에 오염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닭 자체가 감염된 경우 알 전체가 오염원 일 수 있다 다행히 열에 약해 저온 살균(65도에서 30분 가열)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음식 조리과정에서 2차 오염이 문제 될 수 있기 때문에 식 재료 나 칼, 도마, 행주 등을 관리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반려동물 등이 오염원인 경우도 있어 동물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손 씻는 습관을 생활화 하는 게 중요하다.

3. 비브리오 (Vibrio)식중독
여름철에 어패류를 익히지 않고 먹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간혹 뉴스에도 보도되는 식중독으로 대부분 장염 비브리오균에 의해 발생한다.
 이 균은 수온이 20C 이상의 바닷물에서 활발히 증식하고 낮은 온도에서는 증식이 되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열에 약해 60C에서 15분이면 사멸되고 100C에서는 수 분내 사멸된다. 
보통 어패류나 감염된 해산물을 생식하고 12시간 정도 경과 후 심한 설사와 복통을 호소하며 3일 정도 후 자연회복 되지만 간, 신장 등에 만성 질환이 있거나 노약자의 경우 치명적인 경우도 있을 수 있어 병원에서 수액치료 등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4. 대장균성(E. coli) 식중독
대장균은 장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균으로 질환을 일으키지 않으나 일부 병원성 대장균에 의해 식중독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O-157균의 경우 출혈성 장염을 유발하고 전염성이 매우 강하며 사망률도 높아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병원성 대장균은 동물, 사람, 자연환경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단체급식이나 도시락 등에 많이 사용되는 햄, 치즈, 소시지, 두부 등의 식 재료에 오염된 경우 집단 발병하는 특징이 있어 특히 주의를 요한다.

5. 클로스트리디움
( Clostridium) 식중독
생존하기 위해 공기가 필요한 균을 호기성균(Aerobic bacteria)이라 하며 공기가 필요 없는 균을 혐기성균(Anaerobic bacteria)이라 하다. 
클로스트리디움균은 혐기성 균으로 보툴리눔균과 웰치균이 있으며 보툴리눔균은 신경 독소가 있어 오래된 통조림이나 소시지 등을 먹은 후 마비증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독소를 국소적으로 이용해 피부주름 개선 목적으로 성형외과, 피부과 등에서 쓰는 것이 보톡스 주사이다. 
웰치균은 다량의 음식을 만드는 곳에서 조리 후 남은 음식을 보관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소고기 닭고기 등 육류가 주 오염원이다. 음식 섭취 후 수액성 설사와 복통을 동반하나  보통 열은 없다.

6. 노로바이러스 
(Noro virus) 식중독
겨울철 식중독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이며 다른 식중독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진국에서 많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환자의 가검물에 있는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을 익히지 않고 먹을 경우에 발생하며 섭취 후 24~48시간 지나 구토, 복통, 설사와 발열 등을 동반하며 보통 3일 정도 후에 자연 회복된다. 
노로바이러스 장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외출이나 화장실 사용 후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물을 익혀 먹으며 채소 등은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은 후에 섭취 하는 것이 중요 하겠다.

7. 기타 식중독
앞서 언급한 식중독은 세균, 독소,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해서 발생하는 질환이며 대부분의 식중독이 여기에 속한다. 
그 외에 흔하지는 않지만 치명적인 자연독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이 있는데 복어 내장에 함유된 테트로도톡신, 유독성 플랑크톤이 축적 된 조개를 섭취하여 발생하는 식중독이 있으며 식물의 경우 독버섯, 감자에 싹이나 파랗게 변한 부분에 있는 솔라닌, 아플라톡신, 오클라톡신 등의 곰팡이 독소 등이 식중독을 일으키게 된다. 
노로바이러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식중독균은 4C이하나 60C 이상에서는 증식을 하지 않으며 35 C~36C 에서 증식을 많이 하므로 여름철에 식중독이 많이 발생함으로 먹다 남은 음식은 가급적 버리고 보관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손 씻기  등의 개인 위생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서대문구 서대문구의회 서대문구소방서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회 전국지역신문협회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
최용진 홍은동새마을금고 이사장 당선
제1회 전국 동시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홍은새마을금고는 현 정용래 이사장이 삼진 아웃제에 해당돼 출마를 할 수 없는 가운데 상근이사로 근무하던 최용진씨가 후보자로 단독 출마함에 따라 무투표 당선이 확정되었으며, 최용진 후보가 홍은새마을금고 이사장으로 최종 당선되었다. 최용진 당선자는 홍은새마을금고에서 전문경영인 상근이사로 재직하며, 경영 혁신과 조직 발전에 기여했으며, 최근에는 상근이사로는 최초로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을 받는 등 그 성과를 인정받았다. 최용진 당선자는 "회원 여러분의 신뢰와 성원 덕분에 이 자리에 설 수 있게 되어 영광이라 생각하며 앞으로도 회원 한 분 한 분에게 더 큰 신뢰와 가치를 제공하는 금융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소감을 밝혔다. 앞으로 홍은새마을금고는 당선자의 공약 이행을 통해 회원들에게 더욱 신뢰받는 금융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홍은새마을금고는 2024년 기준 자산 3,179억 원, 당기순이익 20억 7천만 원을 기록하며 종합경영등급 1등급을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많은 상호금융기관들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서도 홍은새마을금고는 안정적인 운영을 이어가며 두드러진 성과
김동아 의원,「도시가스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 발의
김동아 국회의원(서대문갑)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동아(더불어민주당 서울 서대문갑) 의원은 4월 2일, 발전용 도시가스물량의 용도구분 및 자가소비용직수입자의 LNG 해외재판매 행위의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도시가스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 도시가스사업법상 자가소비용 직수입자의 도시가스물량에 발전용, 산업용에 대한 용도의 구분 없이 동일한 규제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발전용 직수입자는 가스를 이용하여 상업적 경쟁을 통해 전력을 생산·판매하기 때문에 해당 물량의 용도가 온전한 의미의 자가소비용이라 보기 어렵다. 또한, 전력·가스 수급 및 요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발전용 자가소비용 직수입자에 대해 별도의 규제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이후 자가소비용 직수입 발전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30년 이후에는 발전비중의 7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천연가스 및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발전용 자가소비용 직수입자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번 개정안은 현행 자가소비용 직수입자에 대한 정의 규정을 개정하여 "발전용 자가소비용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