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님의 사람 다윗은 사울 왕에 의 해 살해 협박을 받을 때 “나와 죽음의 사이는 한 걸음 뿐이니라”라고 한탄했 습니다. 욥은 존경받는 의인이었지만 하루 아침에 전 재산을 잃고 10명의 자녀 마저 재해와 사고로 잃어버렸습니다. “어찌하여 내가 태에서 죽어 나오지 아니하였던가 어찌하여 내 어머니가 해산할 때에 내가 숨지지 아니하였던 가” 사르밧 과부도 최후의 식사를 하 고 아들과 함게 죽을 생각이었습니다. 그녀는 엘리야를 통해 살아계신 하 나님을 만났습니다. 통안에 가루와 기 름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은 혜의 감격도 잠시뿐 사랑하는 독자가 병에 걸려 앓다가 죽어버렸습니다. 삶 의 유일한 희망이 사라져 버렸습니다. 지금도 적지 않은 사람들이 생계 문 제와 각종 재앙등으로 죽음의 세력을 직간접적으로 겪고 있습니다. 죽음의 세력을 이기는 키워드는 무 엇일까요?
1. 긍휼의 소박한 나눔
사르밧 과부가 생계 문제로 절망할 때 도전의 말씀을 듣습니다. “엘리야 가 그에게 이르되 두려워하지 말고 가서 내 말대로 하려니와 먼저 그것으 로 나를 위하여 작은 떡 한 개를 만들 어 내게로 가져오고” 만일 통의 가루 와 기름만 보았다면 이 요구는 잔혹했 을 것입니다. 그러나 선지자는 기근 동안 먹을 것 을 책임지시는 하나님의 약속을 보고 있었습니다. “나 여호와가 비를 지면 에 내리는 날까지 그 통의 가루가 떨 어지지 아니하고 그 병의 기름이 없어 지지 아니하리라” 여인은 그 약속의 말씀을 믿었습니다. 남은 음식을 모아 선지자를 대접했
습니다. 믿음을 긍휼의 소박한 나눔으 로 표현했습니다. 소박한 나눔을 통해 내일의 절망이 떠나가 버렸습니다. 교 회 생활도 자신의 보잘 것 없는 것을 이웃과 나누는 것입니다.
2. 탄식의 솔직한 기도
사랑하는 아들을 잃은 사르밧 과부 는 선지자에게 “하나님의 사람이여 당 신이 나와 더불어 무슨 상관이 있기로 내 죄를 생각나게 하고 또 내 아들을 죽게 하려고 내게 오셨나이까”라고 원 망했습니다. 과부는 믿음과 원망과 죄책감을 함 께 표현했습니다. 여인의 탄식을 들은 엘리야도 죽은 시신을 안고 “내 하나 님 여호와여 주께서 또 내가 우거하는 집 과부에게 재앙을 내리사 그 아들이 죽게 하셨나이까”라고 기도했습니다. 죽을 만큼 힘들 때 예수님께 탄식의 기도를 드리십시오. 예수님은 우리의 모든 원망, 쓴 뿌리, 억울함, 목마름, 미움을 다 겪으셨습니다. 주님이 모든 고통을 겪으셨기에, 주님이 우리의 탄 식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성령님으로 우리 기도를 도와주십니다.
3. 부활의 간절한 책임
엘리야 선지자는 탄식의 기도와 함 께 아이의 시신을 품에 안았습니다. 그 시신을 자기 침대에 누입니다. 자 신은 더러움을 당해서 끊어져도 이 죽 음을 책임지겠다는 고백이었습니다. 선지자가 아이를 살려달라고 부르 짖자, 하나님은 선지자의 소리를 듣고 아이를 살려 주셨습니다. “여호와께서 엘리야의 소리를 들으시므로 그 아이 의 혼이 몸으로 돌아오고 살아난지라” 우리도 죽음의 세력과 마주할 때 부활 하신 그리스도가 우리를 안아주십니 다. 내일 죽을 것 같아도 우리는 부활하 신 그리스도의 품안에 지금 있습니다. 죽음과 같은 고난을 겪어도 부활하신 그리스도가 뜨거운 사랑과 열정으로 우리를 돌보고 계십니다. 주님을 신뢰하십시오. 주님을 만나십 시오. 죽음의 현장 속에서 살아계신 하 나님을 찬양하게 될 것입니다. 죽음을 이기신 하나님을 높이게 될 것입니다. <상담문의 : ☎ 391-4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