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8 (화)

  • 흐림동두천 -0.7℃
  • 구름많음강릉 0.3℃
  • 서울 0.5℃
  • 대전 0.4℃
  • 흐림대구 2.3℃
  • 흐림울산 1.0℃
  • 구름조금광주 1.7℃
  • 구름많음부산 2.4℃
  • 맑음고창 0.7℃
  • 구름많음제주 6.2℃
  • 흐림강화 0.1℃
  • 구름많음보은 0.2℃
  • 흐림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1.5℃
  • 흐림경주시 1.2℃
  • 흐림거제 3.7℃
기상청 제공

정치/사회

‘우리 아기 기부 천사’ 사업에 뜻 깊은 후원금

홍제3동 이 모 씨, 세 자녀 3년간 양육수당·출산양육지원금 전액 기부

서대문구 홍제3동의 한 주민이 2013년부터 자신의 세 자녀가 받아 온 양육수당 및 출산양육지원금 전액을 ‘우리 아기 기부 천사’ 사업에 기부해 주위를 훈훈하게 하고 있다.

홍제3동 주민센터에 따르면 40대 초반 남성인 이 모 씨가 최근 주민센터를 방문해 ‘자신의 세 자녀가 지원 받은 양육수당과 출산양육지원금이 모두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이 금액을 좋은 곳에 사용하려고 하는데 어떤 방법이 있는지’ 문의했다.

이 모 씨는 자신이 2009년 8월 홍제3동으로 이사를 왔으며 경제형편이 어렵던 때에 받았던 양육수당과 출산양육지원금이 자녀들을 돌보는 데 크나큰 도움이 됐다며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그리고 정들었던 홍제3동을 떠나 강원도 평창으로 이사를 가면서 그 동안 받은 것을 자신보다 어려운 분들에게 돌려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홍제3동 주민센터 직원이 서대문구가 올해 4월 희귀 난치성 질환을 앓고 있는 영유아들을 위해 시작한 ‘우리 아기 기부 천사’ 사업을 안내했고 이 모 씨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이 모 씨에게 지원된 양육수당(2013∼2015)은 첫 아이 280만 원, 둘째 아이 290만 원, 셋째 아이 325만 원 등, 895만 원이었다.

출산양육지원금은 첫 아이 10만 원, 둘째 아이 20만 원, 셋째 아이 50만 원 등 80만 원이었다.

모두 975만 원인데, 이 모 씨는 지난달 22일부터 29일까지 6회에 걸쳐 총 1천만 원을 서대문구 사회복지협의회 계좌에 송금했다.

이 모 씨는 이메일을 통해 “희귀 난치성 질환을 앓고 있는 가정 형편이 어려운 아기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저희 가족이 받은 것을 잊지 않고 베풀면서 살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대문구는 희귀 난치성 질환을 앓고 있는 영유아들을 위해 자신이 받을 출산양육지원금을 기부하는 ‘우리 아기 기부 천사’ 운동을 올해 4월 1일 시작했다.

자녀가 태어나 동 주민센터나 구청 민원여권과에 출산양육지원금을 신청할 때 지정기탁서와 원천징수 동의서를 작성하면 된다.

서대문구는 출산양육지원금을 첫째와 둘째 자녀에 대해 각 10만 원과 20만 원, 셋째부터는 50만 원을 지급하는데 희망 부모는 이 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기부할 수 있다.

모금된 기부금은 서대문구 사회복지협의회가 관리하며, 희귀 난치성 질병을 앓고 있는 관내 또래 아기들 치료에 사용된다.

구 관계자는 “앞서 ‘우리 아기 기부 천사’ 사업에 68명이 참여해 123만 원을 기부했다”며 “홍제3동 주민의 이번 뜻 깊은 참여를 계기로 부모님들의 동참이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대문구 서대문구의회 서대문구소방서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회 전국지역신문협회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
심미경 서울시의원, ‘교육환경 보호조례’ 개정 발의
심미경 서울시의원(동대문2) 서울시의회 심미경 의원(국민의힘, 동대문 제2선거구)이 학생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학습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교육환경 보호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을 제도화해, 서울의 대도시 특수성이 반영된 학교 교육환경 보호체계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교육환경법, 시행령, 조례는 교육감에게 대규모 재개발이나 사업시설의 유입 등으로부터 교육환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서울시, 자치구,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사업시행 중이나 사후에도 집단민원이 발생하거나 훼손된 교육환경에 어린 학생들이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잦아 제도 개선을 위한 목소리가 높았다. 심 의원은 이번 개정안에 교육감이 학생, 학부모,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이를 교육환경 보호 정책에 반영하도록 교육감의 책무를 명확히 규정하는 조항을 담았다. 또한 심 의원은 “현재 교육환경보호구역 설정·관리가 단순히 교육청·학교와 개발업체 간의 형식적인 행정절차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교육환경 보호는 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