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자치

통계청 지역사회조사 결과 '주민 삶의 만족도' 3위

25개 서울시 자치구 중 2021년 17위 → 2024년 3위로 14계단 올라

 

서대문구(구청장 이성헌)는 최근 발표된 통계청의 ‘2024 지역사회조사’와 ‘2024 서울서베이’에서 잇따라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가장 주목되는 것은 ‘최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부문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가운데 3위를 차지했다.

 

2021년 6.25점으로 서울시 평균인 6.34점에 미치지 못하며 ‘17위’를 기록했지만 2024년에는 7.59점으로 서울시 평균인 6.96점을 크게 상회하며 14계단 상승한 ‘3위’에 올랐다.

 

‘현재 거주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생활 만족도’도 역시 2021년 12위에서 2024년 6위로 크게 높아졌다.

 

‘동네 만족도’ 항목에서는 ▲‘공공편의시설 충분’ 2위 ▲‘운동에 적합’ 3위 ▲‘안전한 편’ 5위 ▲‘장보기 편리’ 5위 ▲‘보행환경 만족’ 4위 ▲‘통근·통학환경 만족’ 6위를 기록하는 등 전반적인 생활환경 만족도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구가 지난해 12월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서대문구에 살기 좋다’는 응답이 93.9%, ‘계속 살고 싶다’라는 응답이 94.6%로 나타나 거주 환경에 대한 높은 만족도가 확인된 바 있다.

 

이는 ▲글로벌 힐링 명소로 부상한 ‘카페 폭포’ 조성 ▲주민 건강을 위한 황톳길·맨발길 조성 ▲공공산후조리원 조성과 구민 이용료 90% 감면 ▲관내 9개 대학 연합 행복캠퍼스 운영 등 주민 행복을 최우선으로 추진해온 생활 밀착형 정책들이 성과를 낸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성헌 구청장은 “민선 8기 주요 추진 정책들을 주민분들께서 체감하고 계시다는 것을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구민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행복 200% 서대문’을 위해 계속해서 확실한 변화를 이루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역사회조사’는 지역 균형발전과 국민 삶의 질 측정을 위해 통계청이 실시하는 통계조사다. 지난해 서울시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시행했으며 서대문구에서는 740가구 1,352명이 조사에 응했다. 또한 ‘서울서베이’는 서울시의 도시정책 기초조사로, 시민 생활 수준, 도시 환경, 사회적 인식 등을 종합 파악해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서대문구 서대문구의회 서대문구소방서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회 전국지역신문협회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
홍은새마을금고, 5년 연속 경영평가 수상
최용진 홍은새마을금고 이사장 홍은새마을금고가 2025년 중앙회 경영평가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며, 5년 연속 경영평가 수상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021년 최우수상을 시작으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대상을 수상했고, 올해 다시 우수상에 이름을 올리며 안정적인 경영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다년간의 수상 이력은 금고가 일관된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꾸준한 자기 혁신과 제도적 정비를 이어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경영평가는 전국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수익성, 건전성, 내부통제, 사회공헌, 조합원 서비스 등 다양한 항목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우수 금고를 선정하는 제도다. 매년 수상 금고는 전체 금고 대비 일부에 불과하며, 특히 대상을 3년 연속 수상한 사례는 전국적으로도 처음이다. 전국 금고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이 같은 성과를 연속적으로 달성한 것은 뚜렷한 조직 경쟁력과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입증하는 지표로 평가된다. 홍은금고는 최근 5년 동안 자산 증가와 연체율 관리, 이용고객 확대, 지역 밀착형 금융서비스 강화 등 전방위적 성과를 이뤄냈다. 특히 상품 운영과 마케팅 전략을 내실화하고, 조합원 중심의 맞춤형 금융제도를 도입하는 등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