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문화, 쇼핑욕구 충족을 위한 상업중심지로서의 역세권 활성화
상시 교통정체에 대한 대책과 유진상가에 의해 단절된 홍제천 복원
문석진 구청장의 민선7기 핵심공약 중 하나인 홍제역세권의 개발을 위한 중장기 종합 발전방안이 그 모습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한발한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많은 지역 주민들의 숙원사업이기도 했던 홍제천 복원 및 유진상가 철거를 위한 홍제권역 일대 발전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의 범위를 넘어 통일을 향한 관문인 통일로의 홍제권역을 통일을 염원하는 서북권의 미래지향적인 핵심거점으로 개발하기 위한 중장기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또한 재건축 중인 홍은1(480세대), 홍은6(284세대), 홍제1(819세대)와 재개발 중인 홍제2(906세대), 홍제3(1,116세대), 홍은12(552세대), 홍은13(827세대), 홍은14(497세대) 등 대규모 주거단지 개발에 따른 다양한 문화, 쇼팅등 소비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업 중심지로써 홍제역세권 일대 활성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내부 순환로 진출입 및 통일로 통과 교통으로 인한 홍은사거리 일대 상시 교통정체 발생에 대한 대책 마련 및 유진상가에 의한 단절된 홍제천 복원등으로 삶의 질 향상과 홍제, 홍은동 일대 노인인구가 17%를 넘고, 통일로변 100여개의 의료시설이 입지하고 있어 의료. 건강 특화지역으로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마중물 사업과 실행사업, 안정화사업의 3단계 사업으로 로드맵을 정하고 1단계로 홍제천 산책로 조성, 홍제 활력발전소 건립, 건강플랫폼 구축사업을 2018년도부터 추진하며 2단계로 지하보행네트워크 조성과 홍제2,3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을 2022년까지, 3단계로 홍제천복원과 유진상가 철거를 2023년부터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가 및 서울시 추진과제로 제안하여 계획 추진동력을 조기 확보 즉 도시재생뉴딜사업과 연계해 중앙부처의 예산을 확보해야 하며 홍제권역 입체복합공간 개발로 토지애용 효율화 및 경제성의 확보를 위한 홍제권역 지하공간의 통합개발로 규모있는 지하상권을 조성과 건강한 지역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방안으로 기존상권 보호 등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공공 지원 방식 검토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홍제역과 홍은4거리를 연결하는 지하보행네트워크 조성 사업은 홍제권의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사업으로 길이 230m, 폭 35m 총 8,050㎡의 규모로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를 사업주체로 400억의 예상 사업비로 2022년 까지 추진할 계획으로 이 사업은 홍제역세권을 문화와 예술공간으로, 지역경제를 이끌어갈 뛰어난 지하 상업 중심지로 변모가 기대된다. 또한 홍제2.3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으로 아파트3개동과 오피스텔 2개돌이 들어 설 계획이며 유진상가 철거 및 홍제천 복원은 복개를 철거하고 우안측 도로확장과 하천 경관개선 및 하천자정능력을 증대하고 지역주민의 여가 활동을 위한 산책로 및 자전거도로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단절된 홍제천 구간 산책로 조성공사는 견인차량 보관소에서 홍제교 인근 520m의 진출입로와 조명시설 등 이미 모든 예산이 확보된 상태로 올해 12월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그 외 홍제활력발전소 건립과 건강플랫폼 구축, 기타 건강 지원사업 추진을 위한 계획이 TF팀을 구성하고 하나하나 추진되고 있어 민선7기 공약의 실천을 통한 홍제권역의 변모될 모습이 기대된다. 조충길 국장